리튬이온배터리에서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이
제대로 절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절연저항이 부족하면 배터리 수명 저하나 발화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절연저항이 낮아지는 주요 원인은 금속이물혼입과 세퍼레이터 파괴 등입니다.
절연되어야
하는 부분으로는 주로 전극-전극 간, 전극-외장 간을 들 수 있습니다.

절연저항시험기 ST5520에 의한 배터리셀의 절연저항검사
충분한 절연저항이 확보되어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전해액을 주입하기 전의 배터리셀에서는 반드시
절연저항검사를 실시합니다. 절연저항검사에는 절연저항계를 이용합니다. 절연저항계란
저항계의 일종으로 고저항측정에 특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절연저항계는 절연체에 고전압을 인가해서 흐르는 미소전류를 검출해 저항값을 구합니다. pA (피코 암페어), fA (펜톤 암페어) 급의 미소전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전류계가 내부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절연저항측정에서는 측정신호가 매우 작기 때문에 측정값이 외래 노이즈나 누설전류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측정환경을 정비하는 것은 물론, 측정값의 안정성도
중요합니다.
HIOKI에서는 절연저항계로 절연저항시험기 ST5520, 초고저항계로 초절연계 SM7110시리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요구 사항에 맞춰 최적의 측정기를 선택하기 위해 다음에 열거한 포인트를 참고해 주십시오.
(1) 절연저항값의 측정범위
절연불량판정의 임계값 이상의 절연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수 GΩ이상이 양불판정의 임계값이 되는 경우에는
측정 레인지가 충분한지 확실하게 확인하십시오.
・ 판정 임계값이 수MΩ에서 수GΩ로, 수%정도의 측정 정확도가 요구되는 경우: ST5520
・ 판정 임계값이 수kΩ에서 수백TΩ으로, 더 고정확도 판정을 하고자 할 경우: SM7110, SM7120
(2) 전압출력성능
절연저항측정시에 인가하는 전압의
레벨이 최적인 것을 선택하십시오.
・ 1000 V이하: ST5520, SM7110
・ 2000 V이하: SM7120
(3) 택트타임
대량의 배터리셀을 효율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의 택트타임이 짧은 것이 중요합니다.
(4) 콘택트 체크기능
시장으로 유출되는 불량품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콘택트 체크기능이 탑재된 절연저항계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콘택트 상태(좌)와 잘못된 콘택트 상태(우)
(5) 미세단락 체크기능
미세단락이 존재하는 배터리는 충방전을 반복하는 사이에 대규모 단락에 이를 위험이 있어 불량품이라
판정해야만 합니다.

고전압 인가에 의한 미세단락의 일시적인 개선